카테고리 없음

HSK 목표로 설계하는 혼공 로드맵

부업소개소 2025. 8. 17. 23:03

레벨별 어휘·문법·듣기/읽기/쓰기의 비중을 과학적으로 배분합니다.

레벨별 우선순위

HSK3–4: 어휘+성조 안정. HSK5: 독해 속도와 쓰기 템플릿. HSK6: 논리 전개와 고급 어휘 연결. 취약 파트는 주당 1블록 추가 배정으로 불균형을 해소합니다.

주간 루틴 배분

듣기 3, 읽기 2, 말하기 1, 쓰기 1 비율(HSK5 기준). 하루는 복습 전용일로 비워 누적 피로를 관리하세요. 모의고사는 2주 1회 전범위, 1주 1회 약점 파트를 권장합니다.

오답 관리

오답은 ‘문항 유형/원인/대응/재검증일’ 4칸으로 기록합니다. 다음 모의에서 동일 유형 정답률이 85%를 넘으면 졸업, 미만이면 보강 세트를 추가합니다.

레벨별 전략 상세

HSK3–4: 패턴/어휘 집중, 듣기 속도보다 정확도 우선. HSK5: 독해 속도 목표 분당 150–180자, 쓰기 템플릿 5개 암기. HSK6: 추론·논증형 지문 대비, 동의어 변환 훈련.

모의고사 운용

  1. 주 1회 파트모의, 2주 1회 전범위
  2. 오답 노트는 유형·원인 재분류
  3. 다음 주 학습 시간 배분에 반영

쓰기 템플릿(HSK5 예)

서론(현상 제시)→본론1(원인/예시)→본론2(대조/보완)→결론(제언/의미). 접속사 세트: 首先/其次/另外/总之, 一方面/另一方面, 因此/于是/不过/然而.

FAQ

점수 정체기가 왔습니다.

최근 3주 오답 유형 Top3를 골라 하루 20분 ‘집중 드릴’을 추가하세요. 양보다 정확도의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파트별 시간 전략(HSK5 예)

듣기 30/독해 40/쓰기 50(분)로 주간 2회 모의. 약한 파트는 +10분 보강, 강한 파트는 유지.

리스닝 노트

장소/시간/숫자/관계 정보를 표로 적고, 함정 유형(부정/대조/예외)을 체크하세요.

리딩 스킴

제목→리드문→각 문단 주제문→세부. 보기 먼저 읽고 본문에서 증거를 찾아 밑줄로 연결합니다.

스피킹 Part2 템플릿

개요→배경→세부→의견→결론. 90초 구성으로 숫자/시간/장소를 반드시 1개 이상 포함하세요.

점검표

  • 모의 점수 추세(최근 4회)
  • 파트별 시간 배분 준수
  • 오답 유형 Top3 개선률
  • 쓰기 템플릿/구문 누적

레벨별 커리큘럼(월간→주간→일간)

HSK3–4는 어휘·패턴·성조의 안정화가 핵심입니다. 월 1,000–1,200단어의 노출과 300–400단어의 실제 인출을 목표로 하며, 말하기는 ‘문장틀 조립’ 중심으로 속도를 늘립니다. HSK5는 독해 속도(분당 150–180자)와 쓰기 템플릿 5개를 핵심 KPI로 삼고, 듣기는 정보 추출형 문제를 중심으로 함정 유형을 데이터화합니다. HSK6는 논증/추론형 지문이 많으므로, 동의어·반의어·추상어(정책/경제/사회/기술) 묶음을 코퍼스화하여 문장 레벨이 아닌 문단 레벨의 의미 전개를 따라가는 훈련을 합니다.

주간 단위로는 ‘전범위 1회+파트 보강 2회’를 기본으로 하고, 약한 파트는 10–20% 시간을 더 배정합니다. 일간 루틴은 60–90분을 권장하되, 최소 버전(35–45분)도 설계해 바쁜 날에도 흐름이 끊기지 않게 합니다.

  • 일간 표준안(HSK5 예): 듣기 20 / 독해 20 / 쓰기 20 / 말하기 10 / 회고 5
  • 일간 최소안: 듣기 10 / 독해 10 / 쓰기 10 / 회고 5

파트별 전략 상세

듣기

장소/시간/숫자/관계에 형광펜을 칠한다는 마음으로 듣습니다. 1지문 2회만 허용하고, 3회차는 정답 근거를 받아쓰기로 확보합니다. 함정 유형(부정/대조/예외/숫자 치환/동음이의)을 표로 누적하고, 다음 주 자료 선정 시 동일 유형을 의도적으로 반복 노출합니다.

독해

제목→리드문→문단 주제문→세부 증거 순서로 계단을 내려갑니다. 선택지는 먼저 읽고, 본문에서 근거를 색으로 연결합니다. 긴 문장은 접속사/관계사 단위로 끊어 의미 블록을 만들어 재조립하세요.

쓰기

템플릿 5개(현상 설명/원인 분석/비교 대조/문제 해결/견해 제시)를 암기하고, 접속사 세트를 문단 초입에 배치해 채점관이 구조를 즉시 인식하도록 만듭니다. 예시에는 숫자/시간/장소를 1개 이상 포함해 구체성을 높입니다.

말하기

90초 프레임(개요→배경→세부→의견→결론)으로 고정하고, 30초 버전도 준비해 변동 시간에 대응합니다. 녹음 후 루브릭(정보 구조/성조·리듬/어휘 다양성/연결어/명료성)으로 10점 만점 자체 평가를 수행합니다.

오답 노트 템플릿

문항 스크린샷/지문 요약/정답 근거 문장/오답 이유(어휘/문법/추론/시간)/대응 전략/재검증일을 한 화면에 정리합니다. 다음 모의에서 같은 유형을 3문항만 타깃팅해 재검증하고, 정답률이 85% 이상이면 ‘졸업’ 태그를 부여합니다. 졸업한 유형이 다시 떨어지면 ‘회귀’ 태그로 별도 관리합니다.

7일 집중 스케줄(HSK5 예)

  1. 1일차: 전범위 모의(타임드) → 점수/시간/오답 유형 로그
  2. 2일차: 듣기 함정 유형 집중(부정/대조/숫자) + 받아쓰기
  3. 3일차: 독해 스키밍·스캐닝 훈련 + 지문 구조도식
  4. 4일차: 쓰기 템플릿 2개 리라이팅 + 피드백 반영
  5. 5일차: 말하기 90초 녹음 4세트 + 루브릭 평가
  6. 6일차: 약점 유형 전용 미니모의(30–40문항)
  7. 7일차: 전범위 모의(타임드) → 1일차 대비 개선 지표 확인

자료 큐레이션 가이드

듣기: 뉴스 요약/인터뷰/시험형 자료를 섞어 속도·발화 스타일 다양성을 확보합니다. 독해: 교육/경제/사회/기술의 4분면에서 기사를 균형 있게 선택합니다. 쓰기: 모범 답안에서 문단 첫 문장(주제문)만 따로 모아 템플릿 사전을 만드세요.

자주 하는 실수와 해결

  • 모의만 반복하고 복기 없음 → ‘오답 노트 템플릿’ 강제
  • 듣기 과속 → 0.9배로 정확도 90% 확보 후 정상 속도
  • 쓰기 공백 → 접속사·템플릿만으로 120자 골격 먼저 생성
  • 독해 시간 초과 → 보기 먼저 읽기, 문단 주제문 표시
  • 말하기 산만 → 90초 프레임 고정, 핵심 3포인트만

점수대별 전략(HSK5 기준)

190–210: 기본기가 부족. 어휘·패턴·성조 재정비와 시간 관리 훈련이 우선. 210–230: 오답 유형 편중. 유형별 정답 근거 확보와 쓰기 템플릿 강화. 230–250: 미세 조정 단계. 속도 가속과 말하기/쓰기의 표현 다양성 확장으로 상향 돌파.

KPI 대시보드

  • 모의 점수/시간/섹션별 정답률
  • 오답 유형 Top3의 주간 개선률
  • 쓰기 템플릿 사용 횟수·표현 다양성 지수
  • 말하기 루브릭 평균 점수

숫자는 학습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입니다. KPI가 개선되지 않으면, 루틴이 아니라 전략을 수정하세요.

케이스 스터디: 8주 상승 플랜(HSK5→6)

1–2주: 약점 유형 진단/오답 노트 구축. 3–4주: 독해 속도+듣기 함정 집중, 쓰기 템플릿 3개 안정화. 5–6주: 말하기 90초 프레임 고도화, 동의어 변환 훈련. 7–8주: 전범위 모의 연속 3회, 체력·시간 관리 최적화. 각 주차 종료 시 KPI를 대시보드로 검증합니다.

체력/시간 관리

90분 이상은 효율이 급락합니다. 25–30분 블록으로 끊고, 눈·목·손 스트레칭을 루틴에 포함하세요. 시험 2주 전부터는 수면·식사 리듬을 시험 시간대에 맞춰 조정합니다.

멘탈 전략

정체기가 오면 ‘절차 성과’(오답 노트 30건, 템플릿 5회 사용 등)를 보상 기준으로 삼습니다. 결과 점수만 보면 동기 저하가 큽니다. 작은 절차 성과를 매일 쌓아 심리적 관성을 유지하세요.

시험 당일 체크리스트

  • 필기구/신분증/수험표/초코/물
  • 듣기: 숫자/장소/시간, 부정·대조 키워드 주의
  • 독해: 보기 먼저, 주제문 표시, 함정 키워드
  • 쓰기: 템플릿 서두, 예시 숫자·시간·장소 포함
  • 말하기: 90초 프레임, 호흡 안정, 키워드 3개

마무리: 전략은 행동으로 완성된다

점수는 설계대로 나옵니다. 오늘은 오답 노트 3건, 템플릿 1회, 듣기 받아쓰기 1지문만. 작고 구체적인 실행이 누적될 때, 합격선은 자연스럽게 넘겨집니다.

시험은 전략입니다. 점수는 설계대로 나옵니다.